🚍아이 버스비 돌려받기 – 경기도 어린이·청소년 교통비 지원 완벽 가이드

경기도 교통비 지원

아이를 학교나 학원에 보낼 때마다 교통비 알림 문자, 한 번쯤 보셨죠? “이 돈도 언젠간 돌아오면 좋겠다…” 싶은 그 마음, 경기도가 딱 알아차렸습니다. 그래서 시작된 게 바로 ‘경기도 어린이·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’이에요. 이름은 조금 길지만 요지는 명확하죠 — 버스비, 지하철비 부담을 줄이자는 것!

몇 일 전에는 마을버스 요금도 올랐더라구요. 내 월급과 내가 산 주식 빼고 모든게 오르는 불편한 나날들.. 그 와중에 그래도 좋은 정보를 가지고 찾아왔늡니다.

아이 버스비, 이제 ‘지원금’으로 돌아옵니다 🚍

이 사업은 경제적 자립도가 낮은 청소년의 교통비 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.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있는 만 6세~만 18세의 어린이와 청소년이 대상이고, 국내 거소신고를 한 외국인 아동도 포함돼요. 즉, “경기도에 살면 누구나 가능” 한 제도입니다.


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
지원금은 분기별 최대 6만 원, 연 24만 원 한도예요. 수도권 대중교통 실사용 금액 100%를 지원하되, 그 한도 안에서만 지급됩니다. 즉, 버스를 타거나 지하철을 태깅한 기록이 있어야 정산됩니다. 부모님 카드로 결제하거나 현금으로 이용한 내역은 해당되지 않아요.

분기별 정산 후 익월 말 지역화폐로 지급되는 구조라, 바로 입금되는 건 아닙니다. 예를 들어 7~9월에 쓴 교통비는 10월 말에 받게 되죠. 행정 절차가 길긴 하지만, 매달 나가던 버스비를 모아 한 번에 받는다는 점에서 체감 만족도가 높습니다.


신청 절차,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💡

  1. 회원가입: 경기도 어린이·청소년 교통비 지원 홈페이지 접속 → 신규 회원 가입
  2. 거주지 인증: 간편·공동·금융 인증서로 경기도 거주 확인
  3. 교통카드 등록: 아이 명의 교통카드 등록 (최대 2장 가능)
  4. 지역화폐 등록: 아이 또는 부모 명의 지역화폐 등록
  5. 자동신청 완료! 이후엔 분기별 교통이용내역에 따라 자동 정산

💡 팁: 만 14세 미만은 부모 인증서로 가입 가능합니다. 아이폰은 ‘모바일 크롬’으로 접속해야 인증이 원활해요.


drunkenpainter26 A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girl waiting at 6df3ebb6 2040 4495 a340 5d0378e9558f
청소년도 지원

🧾 인증서 사용 안내표

구분인증서가 있는 경우인증서가 없는 경우
만 6세~13세인증서 발급 불가 연령대리인의 간편·금융·공동 인증서로 가입 가능
만 14세~18세청소년 본인 인증서로 가입 가능대리인의 간편·금융·공동 인증서로 가입 가능

인증서는 거주지 확인용으로 반드시 필요하며, 대리인은 주민등록등본상 동일 세대의 보호자여야 합니다.


🚫 중복지원은 안 돼요!

교통비 명목으로 이미 타 시군에서 지원을 받았다면, 이 사업에서는 중복지급이 불가합니다. 이는 예산의 형평성과 사업 간 중복 방지를 위한 원칙이에요.

📍 중복지원 불가 사업 목록

① 화성시 무상교통 지원사업
② 안성시 저소득층 무상교통 지원사업
③ 광명시 어린이·청소년 교통비 지원
④ 과천시 토리패스
⑤ 성남시 장애인 교통비 지원(성남희망-pass카드)
⑥ 과천시 중·고등학생 관외 통학 교통비 지원
⑦ 가평군 학생 교통비 지원
⑧ 특수교육대상 학생 원거리 통학비 지원 등

중복으로 확인될 경우 지원금이 환수될 수 있으며,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사업 하나만 선택해야 합니다. 두 번 받을 수는 없습니다 😅


부모로서 느낀 점 🧡

처음엔 ‘이거 신청 절차 복잡하지 않을까?’ 걱정했어요. 하지만 실제로는 몇 번의 클릭이면 끝이더군요. 분기마다 쌓이는 교통비를 한 번에 돌려받는 건 생각보다 뿌듯합니다. 지원금은 아이 학용품이나 급식비에 보태 쓸 수도 있겠지만.. 삼겹살 먹고 끝나겠죠?^^;

경기도가 단순한 현금 지원을 넘어 ‘아이의 이동권’을 보장하는 정책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. 교통비 지원은 단순히 돈 문제가 아니라, 아이의 일상 속 자유와 안전을 위한 투자거든요. 부모 입장에서 이런 제도는 고맙기 그지없습니다.


📘 용어풀이

  • 지역화폐: 거주지 시·군 내에서만 쓸 수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용 카드형 화폐.
  • 간편인증: 카카오톡, 네이버, 통신사 PASS 등으로 로그인하는 간단 인증 방식.
  • 후불 교통카드: 사용 후 나중에 결제되는 카드 (은행·카드사 발급형).

Similar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