🏡 202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 완전정리

네이버 좋아질글 20251010 125448 0000

2025년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, 자격조건, 필요서류를 한눈에! 보기 좋게 정리해봤습니다.


🌱 청년월세지원이란?

서울에서 혼자 살다 보면 월세가 진짜 부담스럽죠.
매달 월세를 보내고 나면 통장이 텅 비는 기분, 다들 한 번쯤 느껴봤을 거예요.

그래서 서울시는 ‘청년월세지원사업’을 운영합니다.
쉽게 말해, 정부가 대신 월세의 일부를 내주는 제도예요.
한 달에 최대 20만 원, 최대 12개월(1년) 동안 받을 수 있어요.
1년이면 최대 240만 원! 월세로 사는 청년에게는 정말 큰 힘이 되죠.

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

🧾 신청 자격 — 누가 받을 수 있을까?

1️⃣ 나이 조건

  • 만 19세 이상 ~ 39세 이하
    1986년부터 2006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신청할 수 있어요.

2️⃣ 집 조건

  • 내 이름으로 월세 계약을 맺은 사람
  • 집을 소유하지 않은 무주택자
  • 고시원, 하숙집, 게스트하우스 거주자도 가능하지만, 서류가 조금 더 필요할 수 있어요.

3️⃣ 월세·보증금·소득 조건

서울시는 월세 금액, 보증금, 소득에 따라 4단계 구간으로 나뉩니다.

구간보증금 기준월세 기준소득 기준
1구간500만원 이하40만원 이하중위소득 120% 이하
2구간1,000만원 이하50만원 이하중위소득 120% 이하
3구간2,000만원 이하60만원 이하중위소득 120% 이하
4구간8,000만원 이하60만원 이하중위소득 150% 이하

‘중위소득’이란 전국 사람들의 소득을 순서대로 세웠을 때 딱 중간 정도의 금액이에요.
즉, 평균보다 약간 적게 버는 청년이라면 대부분 해당됩니다.


📑 필요한 서류

  1. 임대차계약서
    • 집주인과 계약자 이름, 주소, 계약 기간, 월세 금액이 모두 적혀 있어야 해요.
    • 공인중개사 도장이 있으면 더욱 확실합니다.
  2. 월세 납부 확인서
    • 월세를 실제로 낸 기록이 필요합니다.
    • 통장 이체 내역 캡처로 제출하면 충분해요.
  3. 가족관계증명서
    • 혼자 사는 1인 가구임을 증명하기 위한 서류예요.
  4. 주민등록등본
    • 실제로 그 주소에서 거주 중인지 확인하는 용도입니다.
  5. 소득 증빙 서류
    •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, 소득금액증명서, 급여명세서 중 하나를 제출하면 돼요.
  6. 추가 서류(필요 시)
    • 임대차계약서 상 임대인과 등기부등본상의 소유주가 다를 경우 임대사업자등록증을 제출해야 합니다.
    • 고시원이나 게스트하우스의 경우, 별도 증빙서류가 필요할 수 있어요.

💻 신청 방법

온라인 신청

1️⃣ 서울주거포털 접속
2️⃣ 본인 인증 후 로그인
3️⃣ ‘청년월세지원’ 메뉴 클릭
4️⃣ 서류 첨부 후 신청 완료
5️⃣ 마이페이지에서 진행 상황 확인 가능

오프라인 신청

  • **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**에 직접 방문해서 서류를 제출할 수 있어요.
  • 신분증과 서류만 챙겨가면 직원이 안내해줍니다.
  • 접수 확인증을 꼭 받아두세요.

⏰ 신청 기간

2025년 서울시는 6월 11일~24일에 신청을 받았습니다.
매년 비슷한 시기(6월 전후)에 공고가 올라오니,
서울주거포털을 미리 즐겨찾기 해두면 놓치지 않아요.


⚠️ 알아두면 좋은 점

  • 예전에 같은 지원금을 받은 적이 있다면 중복 지원 불가
  • 심사에는 보통 1~2개월 정도 걸립니다.
  • 선정되면 매달 계좌로 입금됩니다.
  • 허위 서류 제출 시, 받은 지원금을 반환해야 함

🌿 마무리

서울의 월세는 참 비싸지만, 포기하지 말고 지원금부터 챙기세요.
매달 20만 원이면 식비 한 달 치가 절약됩니다.
“지금 내게 필요한 건 로또가 아니라 청년월세지원이다.”
이 마음으로 딱 한 번만 신청해보세요.
생각보다 훨씬 쉬워요.

Similar Posts